- 영문명
- Perceptions of College Professors Regarding the Distance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권용준(Yong-Jun KWON) 박해미(Hae-Mee PARK)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9권6호, 173~1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격수업에 대한 전문대학교 교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문대학에 소속된 총 737명의 전임교원들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고, 원격수업에 관한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IPA기법을 활용하여 교수역량과 대학지원에 관한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원격수업의 효과성에 대해서 교원들의 62.3%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원격수업에 대한 개인차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은 일치하지 않았고, 대학차원의 교수지원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원격수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에서 교원의교수설계 능력을 함양하고, 대학차원에서 교수학습자료 제작․공유 플랫폼 제공 등이 필요한 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수업에 관련하여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fessors’ perceptions on distance learningwhich was provided to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practices of distance learning in atotal of 737 college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comprised of 21 itemsseeking professors’ perceptions was use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used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ith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62.3% of professors reported negative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Second, there was the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teaching competencies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did notmatch, and the same results were college supports. Thir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for thedistance learning, the college provide a platform for producing and sharing teaching andlearning materials, the professors have to development the ability to instructional design. Based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