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Adolescents’ Leisure Time Activity, Leisure Environment and Autonomy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한애리 김정현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8권 제3호, 91~1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개인의 선택과 관심을 나타내는 여가활동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과 이들의 여가지원환경이 자율성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평생학습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청소년시기에 입시위주의 지식교육 외에 미래에 새로 등장할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입시위주의 삶을 살고 있는 청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해당시기에 배워야할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여가활동 관련 변인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202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놀이 및 스포츠 활용실태조사에 응답한 고등학생 924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이다. 결과: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은 자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가지원환경은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청소년의 여가지원환경과 자율성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가활동성향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 및 여가지원환경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여가활동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율성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바탕하여, 여가활동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자율성 및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isure time activity, leisure environment, autonomy, and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nsidering leisure activity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learning activity in adolescents’ lives, it is necessary to explore leisure activity-related variables to promote adolesc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924 high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n adolescents’ play and sport activit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time activity positively affected autonomy, but leisure environment didn’t. Second, both the leisure environment and autonomy positively affect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ut leisure time activity didn’t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inally, results of mediation analyses showed that autonom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c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nclus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draw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encouraging adolescents' autonomy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y reconfirming the value of adolescent leisure activity.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implications to adolescent education were included at the end of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