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임명순 박현주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4, 925~9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인공와우를 이식한 성인이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며 겪는 의사소통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드러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공와우 이식 성인 다섯 명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먼저, 인공와우 이식 성인의 의사소통 경험은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이라는 두 개의 주제와 여덟 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부정적 경험은 ‘마음의 거리’, ‘대중 속 외로운 섬’, ‘해결되지 않는 어려움’, ‘의사소통 장벽과 마주함’이었고, 긍정적 경험은 ‘성숙의 언덕 오르기’, ‘선하고 아름다운 만남에 감사’, ‘내 몫을 감당해내는 즐거움’, ‘젊은 날 스스로 만드는 꿈’ 등이었다. 다음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은 의사소통 지속을 위한 전략과 의사소통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의 두 주제와 그에 따른 아홉 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의사소통 지속을 위한 전략에는 ‘상황 구조화’와 ‘적극적 태도’ 등이 포함되었고, 의사소통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에는 ‘도구를 사용하여 수용하기’와 ‘끝까지 표현하기’ 등이 포함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참여자는 난청으로 인해 제한된 상황에 직면하지만 사회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성장하고 사회생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끊임없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구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과 향후 서비스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encountered by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in the course of their social lives, and to explor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the same. Methods: Data was collected via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then analyzed through the Colaizzi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First,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two themes of negative and positive experiences, with eight resultant sub-themes. The negative experiences consisted of “emotional distance,” “a lonely island in the crowd,” “difficulties that are not resolved,” and “facing communication barriers,” while positive experiences comprised “climbing the hill of maturity,” “gratitude toward good and beautiful encounters,” “the joy of managing to do my share,” and “the dreams one sets out to realize in their youth.” Next,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the two themes of strategies for continuing communication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breakdowns in communication, with nine resultant sub-themes. Strategies for continuing communication included “structuralizing situations” and “enthusiastic attitudes,” while strategies for overcoming breakdowns in communication included “recepting through the use of tools” and “expressing oneself to the end.” Conclu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face restricted situations due to their hearing impairments, but grow through dynamic interaction with society, and continuously employed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spond efficiently to social situations. Principal factors to be considered and future service strategies for aiding unhindered communication for the hearing-impaired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