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olubility Characteristic of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and Its Relation to the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희선 이유진 심현섭 이영미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4, 907~9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건청 영유아 간 의도적 발성의 양과 각 집단 부모의 구어 반응성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각 그룹의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의 양과 부모의 구어 반응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12-36개월 사이의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12쌍, 건청 영유아와 부모 14쌍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FFSF (Face to Face/Still Face)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부모의 구어 반응성과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의 양을 평가하였다. 결과: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는 건청 영유아보다 분당 발성 빈도가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두 그룹 간 분당 발성 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부모는 건청 영유아의 부모보다 구어적 반응을 덜 사용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그룹에서, 영유아의 시선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 빈도는 영유아의 분당 발성 빈도 및 분당 발성 시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는 부모-영유아 상호작용에서 건청 영유아보다 적은 발성 양을 보였다.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는 건청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보다 영유아의 의사소통 의도와 행동에 덜 반응하였다. 즉, 언어재활사는 부모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상호작용할 때 영유아의 관심에 따라 적절하고 질 높은 부모의 구어 반응을 제공하도록 권장하고 교육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olubility of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CIs) and their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PVR) in comparison with toddlers with typical hearing (TH),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oddlers’ volubility and PVR in each group. Methods: 12 pairs of toddlers with CIs and their parents and 14 pairs of toddlers with TH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tilized the Face to Face/Still Face paradigm to examine for the differences of the toddlers’ volubility and PVR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oddlers with CIs produced less vocalizations than toddlers with TH.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calization time per minute between the two groups. Parents of toddlers with CIs used less verbal responsiveness, which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than parents of toddlers with TH. In the CI group, the frequency of the PVR to toddler’s focus of atten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and time of toddlers’ vocalization. Conclusion: Toddlers with CIs showed lower levels of volubility than toddlers with TH during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Parents of toddlers with CIs responded less frequently to their toddler’s communicative intentions and behaviors than did parents of toddlers with 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hould educate the parents of toddlers with CIs to promote high-quality parental responsivenes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