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peech Sound Disorders on Language, Literacy, and Nonverbal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of 6-Year-Ol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4, 879~8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언어, 문해, 비언어 수학적 사고 능력 발달에 있어 말소리장애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PSKC에서 2014년(7차년도, 6세) ‘놀이동산 따라말하기 선별검사’와 ‘학업 능력(Academic Skills): 언어 및 문해 능력, 비언어 수리적 사고’에 모두 참여한 1,474명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 문장 따라말하기 선별검사를 통해 말소리장애 중증도를 4집단(일반, 말소리 약간오류, 심화검사 권유, 조음음운장애 의심)으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3가지 학업 능력(언어 및 문해 능력, 비언어 수리적 사고) 측정 변수에 대한 점수 비교를 다변량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과 일변량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6세 시기에 말소리장애 중증도는 언어, 문해, 비언어 수학적 사고력 모든 부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에서 말소리장애가 언어와 문해, 수학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기존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령전 시기에 말소리장애가 있던 아동들을 조기에 확인하고, 언어 및 학업 능력을 좀 더 세심하게 관찰하여 지원을 해주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peech sound disorders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literacy, and nonverbal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Methods: 1,474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Three-Sentence-Screening Test for Korean speech sound disorders’ and ‘Academic Skills: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and Non-Language Mathematical Thinking’ as part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7th year, age 6) were targeted. Through the ‘Three-Sentence-Screening Test for Korean speech sound disorders’, the severity of speech sound disorder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eneral, slight speech error, recommendation of deep examination, and suspected articulation disorder); and scores for three academic abilities (language and literacy, non-verbal mathematical thinking) measurement variables were compared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MANOVA) and one-way analysis (ANOVA). Results: At the age of 6, it was confirmed that the severity of speech sound disord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aspects of language, literacy, and non-verbal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that have found that speech sound disorders acted as a variable affecting language, literacy, and mathematical thinking in existing studies.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identify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early in the pre-school age period and to observe their language and academic ability more carefully to support them.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