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peech Sound Disorder on Vocabulary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4, 868~87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어휘발달에 있어 말소리장애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종단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아동패널연구 데이터에서 6세 324명 말소리장애 중등도 네 집단(일반수준, 약간 오류, 심화검사 권유, 말소리장애 의심)의 연령 변화(3, 5, 7세)에 따른 어휘(수용, 표현) 원점수의 변화 모델이 적합한지를 잠재성장모델링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말소리장애 중등도로 네 집단의 연령 변화에 따른 수용과 표현 어휘발달 정상성 평정 분류(평균이상, 정상발달, 약간지체, 어휘발달지체)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는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말소리장애 중등도는 어휘발달 연속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어휘발달 정규성 규준 구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세 수용 어휘의 발달지체와 3세 표현 어휘발달지체에 있어 말소리장애 중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6세 시기에 말소리장애 중등도가 높은 대상자들은 3세 때 표현 어휘를 그리고 7세 때 수용 어휘력 발달에 있어 일반 아동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 말소리장애가 있는 아동의 어휘발달을 연령에 따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peech sound disorder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ocabulary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Methods: Three hundred and twenty-four 6-year-old children were assessed in severity groups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general level, a slight error, the recommendation for in-depth examination, and suspected speech sound disord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model of change in vocabulary (receptive, expressive) original score according to age (3, 5, and 7 years old) of four SSD groups was suitable for the Latent Growth Model. In addition, cross-analysis was used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normality (abnormal, normal development, slight delay, and vocabulary development delay) according to age changes in the four groups. Results: Results found that the severity of SSD did not affect vocabulary development continuity, bu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vocabulary development normality standards. The severity of SS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delay of the 7-year-old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development delay of the 3-year-old expressive vocabulary. Conclusion: It would be desirable to check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SSD according to age, understanding that subjects with suspected SSD can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ressive vocabulary at the age of 3 and receptive vocabulary development at the age of 7.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