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a Software Education Experience Based on Stories Tol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영(Kim, Nayoung) 송현순(Song, Hyuns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5권 제4호, 171~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을 듣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방법의 절차를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소프트웨어 교육 경험이 있는 4명의 초등교사이다. 자료수집은 이야기나누기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반복적인 이야기 나누기를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은 전사하고 범주화한 후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는 참여자 각각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와 각 경험의 의미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 경험에 대한 의미를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은 같이 인식하였으나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둘째, 비자발적으로 시작하였느나 그 후 결과는 스스로 성장하거나 아직도 관심 없음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프트웨어 교육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교사들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정리하면 소프트웨어 교육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유의미하게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고. 둘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셋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긍정적 인식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ked teachers to discuss their experiences with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 then explored the meanings of their stories. To accomplish this, we employed the narrative method procedure among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software education, thus allowing us to collect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transcribed these interviews, categorized relevant information, and interpreted the meaning. In this context, we divided the results into stories pertaining to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software education was necessary, but also reported many difficulties. Second, it began involuntarily, but then grew on its own or remained uninterested. Third, each participant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software education.
In sum, this highlights three important provis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oftware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experience software education meaningfully. Seco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software education. Third, it is critical to reduce the rejec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establish positive percep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