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구현주 문혁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1099~111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인들과의 관계 및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 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으며, 변인들 간 관계 파악을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각 변인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진로결정 자율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진로결정 상황에 놓인 대학생들에게 진로결정과 관련하여 당면한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결론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고. 진로결정 자율성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autonom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variabl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thods For this study, 285 college student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2.0, and a 3-step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by Baron and Kenny (1986)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all the variables. Secon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d an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hird, i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college students in career decision-making situations need confidence to feel that they can successfully solve the challenges facing career decision-making.
Conclusions Perceiving social support to enhanc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