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Among Job Autonomy,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423~4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주도적인 경력개발을 위해 직무자율성과 직업적 자기효능감 및 주도적 경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전국의 10개 산업군의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05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SPSS Program 24.0과 Hayes(2012)의 Process Macro 59번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직무자율성이 직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주도적 경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개인-환경 적합성 수준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과 주도적 경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율성과 직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개인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 사이의 부합도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정적영향이 더욱 향상되고 이를 통해 주도적 경력행동의 상승폭도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경력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person-environment fit on relationship among job autonomy,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for enterprising career development of office worker.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otal of 505 participants working at the ten different industry sector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was conducted with SPSS program 24. and Process Macro 4 and 59.
Results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ccupational self-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job autonomy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Second, a moderating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Third, person-environment fit had a positively moderated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autonomy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in the full mediation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Conclusions These result means that the proactive career behavior of office worker with high level of job autonomy was more strongly affected by person-environment fit than with low level of job autonomy. Thus, the interactive effect of environment and personal resource is the important which improve the proactive career behavior. This study discussed the essential strategies for experience man to enhance their career development as well as the employ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