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c exploration for integrated operation of swimming and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도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375~39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영 및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체육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수영과 생존수영의 통합 운영을 위한 근거를 전략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과 이와 관련된 법령, 그리고 교육 매뉴얼,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고 운영 실태와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으며,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통합운영을 위한 관련 법규와 정책 등을 문헌연구하였다.
결과 수영 교육과정은 정규교과 내에서 교육과정과 매뉴얼의 불일치, 교사의 실기 수업 진행에 대한 부담 등, 그리고 생존수영 교육과정은 비교과로서의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부담, 교사의 해당과목의 비전문성 등이 운영 실태 및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초⋅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수영 및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단계별, 학년별 명확한 성취기준의 성립을 통한 운영과 이에따른 표준교육과정의 재구성, 교육주체자의 전문성 신장 등을 관련 부가 정책으로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strategically explore the rationale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swimming and survival swimming with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y ident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swimming and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levant curriculum and laws, educational manuals, and previous studies.
Results The swimming curriculum is operated due to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manual within the regular subject, the burden of teachers in conducting practical classes, etc., and the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due to the burden of conducting compulsory education as a non-specialty subject, and the teacher's non-professionalism in the subject. It was identified as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Conclusions We propose as additional policies related to oper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ear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stage and grade of swimming and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with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reorganization of the standard curriculum, and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subject.
목차
Ⅰ. 서론
Ⅱ. 수영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문제점
Ⅲ. 생존수영 교육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
Ⅳ.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 개정 및 관련 정책의 방향성 제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