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tress and Depression of High School Gir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현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291~30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여고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U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여학생 1,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03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for SPSS V3.5 Model 1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스트레스(r=.757, p<.001)는 우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아탄력성(r=-.449, p<.001)과 학교스트레스 사이, 자아탄력성(r=-.415, p<.05)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여고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변수로 작용함이 확인되었고(β=-.245, p<.001), 학교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의한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여고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girl stud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first and second graders of humanities high school located in U city Korea, and 30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each variable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V3.5 Model 1.
Results First, school stress (r=.757,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between ego resilience (r=-.449, p<.001) and school stress, ego resilience (r=-.415, p<.05) and depre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go elasticity act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girls students(β=-.245, p<.001).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interaction term by school stress and ego resilience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basis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self-resilience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gir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