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ype 1 diabetes manag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 of school nurse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behavioral compet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문지 김경진 하영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261~2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프로그램이 제1형 당뇨 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행위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 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설계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근무중이며,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자발적으로 신청하여 프로그램 전 과정에 참여한 보건교사 39명이다.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교원연수 프로그램은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의 교수 설계 절차를 활용하여 2021년 6월 10일부터 7월 26일까지 체계적인 단계를 통해 교수방법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교사 대상으로 제1형 당뇨 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행위 역량 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사전, 사후 평가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7월 26일이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전 과정에 참여한 실험군은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제1형 당뇨 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행위 역량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 전보다 후에 제1형 당뇨 관리 행위 역량의 하위요인인 이상 혈당 수치 사정, 연속 혈당 측정기 및 인슐린 펌프 사용과 저혈당 치료, 케톤증 관리, 인슐린 투약, 당뇨 학생 개인 관리 계획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그러므로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교원연수 프로그램은 제1형 당뇨병 학생의 학교 보건 증진을 위한 보건교사의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effects of type 1 diabetes manag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 of school nurse on the type 1 diabetes management knowledge, self-efficacy and behavioral competenc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as performed on 39 school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chool nurses who are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located in K province and voluntarily applied for the type 1 diabetes manag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study’s program is systematic step by step feedback using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of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from June 10 to July 26, 2021.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July 26, 2021, a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whole process of the type 1 diabetes manag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 of school nurses significantly improved type 1 diabetes management knowledge, self-efficacy, and behavioral competence after the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sub-variables of behavioral competency in type 1 diabetes management such as assessment of abnormal blood glucose, treatment for hypoglycemia and use insulin pump / CGM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management of ketones, insulin administration and individual care plan for students with type 1 diabetes were all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ype 1 diabetes manag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 of school nurse than before.
Conclusions Therefore, the type 1 diabetes manag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 of school nurses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program to improve school health for students with type 1 diabet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