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Medical Utilization in Seoul Metropolitan regios by Patients with Congenital Malformations Residing in Jeollabuk-do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정연자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0 No.2, 275~2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북지역 거주 선천성기형 환자의 서울·수도권 지역 의료이용 요인을 파악하고 주민들의 의료이용에 대한 지역적 형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016년부터 2020년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은 19-44세가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높았다. 둘째, 병상규모가 클수록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높았다. 셋째, 주진단의 경우 호흡기계통의 선천성기형에서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높았다. 넷째, 입원환자가 수술을 시행하고 중증도가 높을수록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이용에 대한 지역적 형평성을 위해서는 정부가 주도하는 보건의료정책 및 의료계획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medical use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by patients with a congenital malformation in the Jeollabuk-do region and suggest methods to improve equity in regional healthcare utilization. The study conducted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Korean National Hospital's in-depth injury survey data from 2016 to 20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dical utilization in SMR was high in the age group of 19-44. Second, the bigger the bed size, the higher the medical utilization in SMR. Third, in the case of the principal diagnosis, the medical utilization in SMR was high in the patients with congenital Anomaly of the Tracheobronchial System. Fourth, the medical utilization in SMR was high in the group of inpatients with higher severity after surgery. Based on these results, government-run healthcare policies and planning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regional equity of medical utiliz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