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최정명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0 No.2, 221~22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과 학업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총 20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아질수록 회복탄력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적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아질수록 학업적소진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업적소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회복탄력성 전체와 학업적소진 전체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colleges in Chungcheong-do, and a total of 201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data analysis method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silience increases as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creases. It was found tha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burnout, and as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creases, academic burnout decreases.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overall resilience and overall academic burnou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