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on of Vertical Stiffness Degradation due to Lateral Deformation of Elastomeric Bearing and Corresponding Impact Factor Variation of Slab Bridg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태현 이창석 노화성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209~21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이동하중해석을 통해 적층 탄성받침의 수평변형에 따른 슬래브교량의 충격계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탄성받침은 Neo-Hookean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상부 슬래브는 solid 요소로 모델링하였다. 해석결과 탄성받침의 수평변형비(탄성받침 두께 대비 수평변위의 비)가 0.3까지는 탄성받침의 수직강성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그 이상 변형비부터는 수직강성 변화가 뚜렷하며 0.7 수평변형비에서는 초기 수직강성에 비해 10.87% 감소를 보였다. 충격계수에 있어서는 수평변형비 0.7까지는 거의 동일하나 그 이상부터는 가파르게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고려한 최대 수평변형비 1.0에서는 약 10% 증가를 보였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the impact factor variation of a slab bridge supported by laterally deformed laminated bearings was investigated through 3D FE moving load analysis. The neo-Hookean model was adopted for the bearing, and the slab deck was modeled with solid element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bearing vertical stiffness decreased slightly until a lateral deformation ratio of 0.3, which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lateral displacemen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bearing. However, the stiffness decreases above this ratio, showing a 10.87% decrease for a deformation ratio of 0.7. The peak impact factor is almost the same up to a deformation ratio of 0.7. However, a larger deformation ratio leads to a precipitous increase in the impact factor, which is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10% under the 1.0 ratio, which is the maximum deformation ratio considered in this study.
목차
1. 서론
2. 대상교량 및 탄성받침 유한요소모델
3. 탄성받침 수평변형 및 수직강성 변화
4. 정적 및 차량 이동하중 해석
5. 교량의 정⋅동적 응답 및 충격계수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