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ing the Applicability of Track Alignment Design Code for Continuous Welded Rail Installation to Concrete Slab Track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형덕 송종걸 윤기용 문지호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181~18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국내 KR code에 명시된 장대레일 설치 시 요구되는 궤도선형 조건은 자갈궤도의 경우 타당한 것으로 보여지나 자갈궤도에 비하여 훨씬 큰 좌굴 저항 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궤도에 적용성은 명확하지 않다. 특히 도심지의 경우 장대화가 필요하나 KR code의 장대레일 부설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콘크리트 궤도에 대하여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KR code의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 선형조건의 근거를 파악하였으며 이후 궤도좌굴 해석을 통하여 KR code 내 평면 및 종곡선 반경 조건에 대하여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KR code 규정 적용 시 특별한 보강 없이 콘크리트 궤도에 장대레일을 부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e KR code, the track alignment limitations for CWR installation are specified. These limitations appear reasonable for ballasted tracks. However, its application to the concrete slab track is doubtful because the concrete slab track has a much higher buckling resistance than the ballasted track. In addition, sometimes the track alignment cannot satisfy the KR code limitations in urban areas. Therefore, the track alignment limitations for the CWR in the KR code should be evaluated for the concrete slab track. In this study, the focus was on assessing the applicability of track alignment limitations for CWR installation in the KR code for a concrete slab track.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asis of KR codes. Subsequently, a series of track stability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urves in the KR code to the concrete slab track. The results indicated that CWR can be installed on a concrete slab track without special limitations for the curve ranges specified in the KR code.
목차
1. 서론
2. 장대레일 부설 조건에 대한 배경이론
3. 콘크리트궤도 좌굴 해석모델
4. 해석결과 분석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