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itical Infrastructure Disaster Resources Stockpile System With an Emphasis on Power Plan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송창영 양병수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165~17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재난은 불확실성, 복잡성, 다양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비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국가핵심기반 중 발전시설은 국내 전력생산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재난으로 인해 발전시설의 기능이 마비되는 경우 모든 산업, 경제 분야까지 피해가 확대 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초동대응체계 마련을 통해 피해의 확산을 최소화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재난 발생시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초기대응에 투입되는 재난관리자원의 적정량과 배치계획 등이 중요하며, 발전시설의 경우 피해가 확대될 수 있는 위험시설이 산재되어 있어 재난 특성 따른 재난관리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반드시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가핵심기반 중 ‘H 발전시설’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초동대응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재난관리자원의 비축체계 개선을 통해, 재난 발생 시 국가중요시설인 발전시설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disasters are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complexity, and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active and systematic preparedness. In particular, disasters occurring in critical infrastructure can lead to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s well as secondary and tertiary damage. In Korea, there are six power plants, including Korea Hydro & Nuclear Power. These facilities play a crucial role in generating electric power, and the paralysis of power-generating functions due to disasters can cause damage to all industrial and economic areas. Therefor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minimize the spread of damage by preparing an efficient early response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minimizing damage to important power plants during disasters by improving the system for storing disaster resources, which are crucial for the early response activities of power plant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재난관리자원 운영⋅관리 제도
5. 재난관리자원 대응사례 분석
6. 발전시설 재난관리자원 비축량 산정
7.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