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vacuation Times Based on Changing the Arrangements of Neonatal Units in Postnatal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홍상 공하성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157~16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 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모자보건법」은 3층 이상에 산후조리원의 설치를 금지하고 있지만 기존 산후조리원의 80% 이상이 3층 이상에 위치하고 있어 수직피난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신생아실 분산배치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산후조리원에서는 비용절감을 위해 신생아실을 한 곳만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집중배치 는 화재발생 시 모성본능으로 인해 아이와 함께 피난하려는 산모들이 신생아실 앞에서 뒤엉켜 피난에 장애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고려해 신생아실을 한 개만 배치할 경우와 같은 층내에 분산 배치하는 경우, 층별 분산 배치하는 경우 등을 설정하여 변수에 따른 피난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생아실 배치 변경에 따라 피난시간이 최대 584.3초에서 최소 456.0초로 많은 차이를 나타났다. 피난약자인 신생아와 산모의 안전을 고려해 산후조리원의 저층 배치 및 신생아실 배치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 때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changes in evacuation time,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a neonatal unit in a postnatal care center, by using an evacuation simulation program for analysis. Currently, the “Mother And Child Health Care Act, 2022” prohibits the installation of postpartum care centers above the second floor, but more than 80% of existing centers are located on the third floor or higher, producing problems with vertical evacuation. There are also no regulations for the placement of the neonatal unit when only one neonatal unit is in operation.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crowding and confusion would produce problems when mothers are evacuating with their babies. Since there are no regulation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neonatal rooms, postpartum nursing homes are operating only one neonatal room in order to cut costs. Therefore, in such a concentrated arrangement, in the event of a fire, crowding and confusion would produce problems when mothers are evacuating with their babies. Considering these issues, evacuation tim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hanging the layout of a postnatal care center. This included where there was only one neonatal unit, where the neonatal and postpartum units were distributed on the same floor, and where these units were distributed on separate floor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cuation times for the proposed arrangements, ranging from 584.3s to 456.0s. Considering the safety of vulnerable newborns and mothers, regulations for low-floor layouts of postnatal care centers are necessary to ensure quick evacuation.
목차
1. 서론
2. 본론
3. 실험결과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