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umeric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Evacuation in Multi-Family House Fir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병준 안찬솔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141~14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세대주택에서 화재 시 피난에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수치해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험적 상관식에 근거한 화재크기, 화재성장속도, 화재발생위치, 복도 창문 개폐조건 등을 인자들로 고려하였고 CFAST를 이용한 수치해석 결과들은 피난을 고려한 인명안전기준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화재시나리오에서는 다세대 주택 대피 경로인 계단실 출입구 앞 영역에서 독성가스의 인명안전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고온 연기층 온도와 연기층 높이 기준은 동일한 시간에 인명안전기준을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단실 출입구와 먼 쪽에서 발생한 화재인 경우에 가장 빠르게 인명안전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복도의 창문은 복도 내 온도 감소 및 연기층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affecting evacuation when fires occur in multi-family houses. The parameters of fire size, growth rate, and location, as well as open or closed corridor-window conditions were considered based on empirical factors, and the results using the CFAST model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life safety code for evacuation. In the fire scenario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toxic gases in the area in front of the entrance to the stairwell, which is an evacuation route for a multi-family house, did not exceed the life safety cod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and height of the hot gas layer did exceed the life safety code. The height of the hot gas layer exceeded the life safety code the fastest when the fire was far from the entrance to the stairwell, and the opening of the hallway window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temperature in the hallway and maintaining a high smoke layer.
목차
1. 서론
2. 수치해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