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on Life Satisfaction in Information and Digital Technology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정채영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1권 제2호, 43~5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에서 디지털 혁신이 지속해서 확산하고 있다 정보기술능력도 디지털 기술과 함께 급속한 변화의 과정에 있다 정보기술능력은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기술의 변화 안에 있으며, 서로 연관되어 있어 중요성을 같이 파악하여야 한다. 노인층과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정보기술능력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됐다.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 전환에서 정보기술능력의 인지된 가치가 삶의 만족과 연결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였다. 정보기술능력의 인지된 가치는 사용태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 최근의 많은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가 삶의 만족을 풍부하게 만든다. 검증된 연구에서 소외된 계층의 가치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삶의 만족은 사람의 욕구를 충족하는 중요한 변수로, 정보기술능력의 변화속도가 빠르므로 소외된 계층은 도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삶의 만족을 위해서 정보기술능력의 향상과 인지된 가치의 역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능력의 인지된 가치가 사용태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본통계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였고, 가설검정은 Smart PLS 3. 0을 사용하였다. 정보기술능력의 인지된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기능적 가치, 경험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나누었다.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능력의 인지된 가치(기능적 가치, 경험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사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용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Digital innovation continues to sprea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re also in the process of rapid change along with digital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r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digital technology, and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so the importance should be grasped together. A study was conducted on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adolescents. Tn the paradigm shift chang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model was derived in which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can be connected with life satisfaction.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affects usage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In many recent studies, perceived value enriches life satisfaction. In the verified study, the value perception of the marginaliz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satisfies people's needs, and because the speed of change i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is fast, the marginalized class is highly likely to be eliminated. For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formation technology skills and play a role in perceived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εn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skills and the effect on usage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SPSS 23.0 was used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Smart PLS 3.0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pereived value of infonnation technology competency arε divided into functional value, experiential value, and social value. A summary of thε study follows. First, thε percεived valuε (functional value, experiential value, social value) and usage attitude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usage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