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re Risk Analysis of Petrochemical Plant Facilities through Fire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남기태 이두희 최두찬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6 No.6, 131~1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플랜트의 화재 발생 시 소방대의 소방활동 전개 가능 및 작업자 대피 영역을 제시하기 위하여 화재사례분석 및 ISO 17776 체크리스트에 따른 공정별 화재 유형과 위험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화재하중이 가장 큰 저장 탱크를 대상으로 풍속 및 가연물에 따라 화재모델링을 진행하여 복사열 및 연기 거동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헵탄, 휘발유, 경유 순으로 복사열 및 연기의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방대 활동 전개 및 작업자 대피 영역은 가연물보다는 풍속에 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다만 해당 연구의 결과는 해당 화재모델링에 대한 종속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한 데이터 축적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고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fire case analysis and fire type and risk analysis were conducted for each process according to the ISO 17776 checklist to determine the firefighting activities and worker evacuation areas in case of a fire in a petrochemical plant. Therefore, fire modeling was performed for storage tanks with the largest fire load according to the wind speed and combustibles in order to analyze the radiant heat and smoke behavior. The effects of radiant heat and smoke were increasingly high in the order of n-heptane, gasoline, and diesel. Moreover, the firefighting activities and worker evacuation areas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wind speed rather than combustibles. However, becaus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not exclude the possible dependence on the fire modeling, it is necessary to generalize and standardize the results of the study by accumulating data through various scenarios.
목차
1. 서론
2. 플랜트 시설물 화재 위험 분석
3. oil-tank 화재 분석
4. 결론
후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