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moke Control System Performanc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Floor Plan Configuration of High-rise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성한 정석환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6 No.6, 93~10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국내의 경우, 고층 공동주택의 특별피난계단 부속실과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은 겸용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피난용승강기와 비상용승강기가 설치된 고층 공동주택의 경우 각 승강장의 배치 구조에 따라 두 가지 평면구조를 형성한다. 하나는 복도를 통해 두 승강장이 면하는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두 승강장이 직접 면하는 구조가 된다. 두 평면에 대하여 연돌조건에서 연기제어에 필요한 풍량과 차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평면 모두 중성대 하부 승강장에서의 급기만으로도 중성대 상부의 승강장에 연기유입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차압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승강장이 면하는 구조의 경우, 중성대 상부의 승강장 차압이 피난 장애가 우려될 수준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 vestibule of a special escape stair and a fire service access elevator is typically used together. The floor plan configuration of high-rise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where occupant evacuation elevators are installed is of two types depending on the vestibule structure of the occupant evacuation elevators and fire service access elevators. In one type, the vestibules of an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a fire service access elevator face each other, and in the other type, each vestibule faces the corrid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moke control volume flow rate and pressure difference, air volume flow rate to form a pressure difference was used in the lower level of the neutral pressure plane in both the floor plan configurations. The pressure difference above the neutral pressure plane was confirmed to be formed sufficiently high to cause evacuation disturbances in the floor plan configuration without corridor.
목차
1. 서론
2. 본론
3. 해석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