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녹내장 환자에서 점안 ketorolac tromethamine 0.45% 사용이 백내장수술 후 안압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후향적 의무기록을 통해 동일한 술자에게 백내장수술을 받은 개방각녹내장 및 대조군을 선별하였다. 수술 전 안압과술 후 1일, 1개월, 3개월의 안압 및 전방염증 상태를 평가하였다. 또한 술 후 급격한 안압상승의 발생 빈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비교분석을 위해 녹내장 환자 그룹을 ketorolac 사용군(G+K+)과 미사용군(G+K-)으로 나누었으며, 비녹내장그룹도 각각 G-K+, G-K-로분류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243안 243명이 포함되었다. 녹내장그룹인 G+K+군은 G+K-군에 비해 술 후 초기 안압상승이 적었으며, 술 후 3개월째 안압은 더 낮았다. G+K+군에서는 술 후 감소된 안압이 1개월 및 3개월까지 유지되었으나, G+K-군에서는 수술 전과 비슷한안압을 보였다. 반면 비녹내장그룹에서는 술 후 3개월까지 ketorolac 사용 여부에 따른 안압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 전방염증은 술후 1주일째 G+K+군에서 G+K-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수술 후 급격한 안압상승의 발생은 G+K+군이 G+K-군보다 유의하게 적었다(8.1% vs. 24%). 결론: 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시 ketorolac을 사용한 경우 술 후 초기 안압상승이 적었으며, 3개월 시점까지의 안압하강에도유리하였다. 백내장수술 후 안압상승이 위험할 수 있는 진행된 녹내장 환자 및 심한 전방염증이 예상되는 환자에서는 ketorolac 점안액을 적극 활용해 볼 수 있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0.45% ketorolac tromethamine on intraocular pressure (IOP) after cataract surgery in glaucoma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open angle glaucoma patients and control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perfomed by a single surgeon) was conducted. Topical ketorolac was applied from the day before surgery until 1 month postoperatively. IOP and anterior chamber (AC) inflammation were assessed preoperatively and at 1 day, 1 month,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The incidence of IOP spikes was also measured. For comparative analysis, glaucoma patients were divided into ketorolac (G+K+) and non-ketorolac (G+K-) groups, while non-glaucoma patients were divided into G-K+ and G-K- groups. Results: A total of 243 eyes (243 patients) were enrolled. Among glaucoma patients, the initial postoperative IOP increase and IOP at 3 months postoperatively were lower for the G+K+ than G+K- group. In the G+K+ group, IOP remained low at 1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while in the G+K- group, IOP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s. Among non-glaucoma pati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OP change until 3 months postoperatively between the G-K+ and G-Kgroups. AC inflamm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t 1 week in the G+K+ than G+K- group. The incidence of IOP spikes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operatively was lower in the G+K+ than in the G+K- group. Conclusions: Ketorolac had a positive effect on IOP after cataract surgery and allowed for a lower IOP to be maintained in glaucoma patients. Topical ketorolac may be used to prevent IOP elevation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ith advanced glaucoma or at high risk for severe AC inflammat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