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Avoidance Behavior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in University Studen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elf-Compa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연선 양재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905~9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이 긍정과 부정정서 경험을 유발하는 경로에서 사회적 회피 및 미묘한 회피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대학(원) 재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설문지(SIAS), 한국판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K-PANAS),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 사회불안과 관련한 미묘한 회피 빈도 검증 척도(SAFE),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5.0와 SPSS Macro로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과 긍정정서의 관계에서 사회적 회피가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과 긍정정서의 관계에서 미묘한 회피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불안이 사회적 회피 및 미묘한 회피를 매개로 하여 긍정정서에 미치는 간접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회불안과 긍정정서의 관계에서 회피 행동 경향이 높을수록 긍정정서의 수준이 낮아지며, 회피 행동의 경우 자기자비 수준이 높을수록 약화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자비가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긍정적인 정서 경험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voidance behavior,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Methods A total of 44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Korean-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K-PANA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Subtle Avoidance Frequency Examination (SAF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K-SCS). The date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Results The current study yielded three noteworthy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ocial anxiety, social avoidance, subtle avoidance, self-compassion, negative affect, and positive affect. Second, Social avoidance was complete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positive affect. Subtle avoidance was partially mediated their relationships.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voidance and subtle avoidance i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positive affect were moderate by self-compa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may act as a protective factor for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of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