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Teachers Feedback on High School Students’ Self-handicapping and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남인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877~8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지각한 케어링분위기와 교사의 피드백이 고등학생의 자기핸디캡과 수업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D시와 G시에 소재한 혼성 고등학교 2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해당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할당표집방법에 의해 360명(남학생 180명, 여학생 180)의 표본을 추출하여 323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케어링분위기 검사지, 교사의 피드백 검사지, 자기핸디캡 검사지 그리고 수업만족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게, 상관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어링분위기는 자기핸디캡에 부적 영향을 주는 반면에, 격려/칭찬 피드백과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자기핸디캡에 정적 영향을 준다. 둘째, 케어링분위기, 수행지식/긍정적 비언어 피드백, 격려/칭찬 피드백,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 모두 수업만족에 정적 영향을 준다. 셋째, 자기핸디캡은 수업만족에 부적 영향을 준다. 넷째, 케어링분위기, 교사의 피드백(격려/칭찬 피드백과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자기핸디캡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에서 지각한 케어링분위기, 교사의 피드백과 자기핸디캡 및 수업만족 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게다가 케어링분위기와 교사의 피드백이 자기핸디캡을 매개로 하여 수업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teachers feedback on high school students’ self-handicapping and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23 (boys 154, girls 169)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quota sampling method. The used instrument of this study were the Lee(2020) for measuring caring climate scales, the Ryu(2009) for teacher feedback scale, the Hwang & Park(2010) for measuring self-handicapping scale, and the Lee & Kim(2011) for measuring class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statical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caring climate nega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but, both praise feedback and negatively non-verbal feedback posi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Second, caring climate, performance knowledge/feedback/positive no-verbal feedback, praise feedback and negatively non-verbal feedback positively influenced to class satisfaction. Third, self-handicapping negatively influenced to class satisfaction. Forth,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caring climate, teachers’ feedback(praise feedback and negatively non-verbal feedback) and class satisfaction as a parameter of the self-handicapping. Conclus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both caring climate and teachers’ feedback had a mediating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self-handicapp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