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Music Teach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영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789~8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음악교수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적 특성과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음악교수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 과정을 적용한 결과를 통해 음악교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본다. 방법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음악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시작으로 교사 양성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안으로 유아 음악에 대한 이해 및 적용, 음악교육의 내용, 지도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접목하여 양성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15주의 교육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서울⋅경기지역에 있는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및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강의 및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력이 있는 교강사를 주측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및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강의 및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력이 있는 교강사를 주축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실행 전후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음악교수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지도프로그램을 통해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음악교수효능감의 사전검사 점수보다 사후 검사점수가 향상 되었다. 행복감의 하위 요인으로 내적 행복과 자기조절행복요인의 사후 점수가 향상 되었고, 음악교수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 하위영역 모두에서 사후점수가 향상되었다. 행복감과 음악교수효능감의 점수 증가에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도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음악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음악 인성적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이들의 교사 역량을 키우고, 인성적 소양을 높이는 교육적 시도를 지속할 필요가 있음을 시시한다. 결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음악지도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음악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음악 인성적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이들의 교사 역량을 키우고, 인성적 소양을 높이는 교육적 시도를 지속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signed a music teaching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pre-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efficacy in the music teaching class for pre-kindergarten teachers and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usic teaching program through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ocess. Methods To develop a music teaching program for pre-school teachers, starting with literature research, it is a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It is designed as a 15 week educational program to be applied in the course. This program was conducted for 15 weeks for 120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program was implemented mainly by instructors wh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and have experience in teaching and manag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 the happi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were measured. Results Through the music guidance program for prospective infant teachers, the post-test score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of the happiness and musical teaching efficacy of the pre-infant teachers who participated. As a sub-factor of happiness, post-scores of internal happiness and self-regulated happiness were improved, and post-scores were improved in both sub-scores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scores of music teaching efficacy. The effect of this program could be confirmed as the score of happi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increased.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onal attempts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and personality skills by combining music personality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happi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usic guidance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