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and play immersion i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은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753~7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자기조절능력,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총 238명이었으며, 유아의 특성은 담임교사에 의해 질문지로 평정되었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자기조절능력,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자기조절능력의 매개를 통해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에 간접적인 효과를 주었다. 즉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유아교육에서 유아와 함께 하는 인공지능교육을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유아⋅놀이중심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능력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유아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and play immersion i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are 238 young children who are 3, 4, and 5 years olds and attending preschools located in G city. Data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ere collected through related questionnaires by their preschool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and play immersion in using AI. Seco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irectly affected on play immersion in using AI and indirectly gave an influence on play immersion in using AI by a mediation of self-regulation. In accordance, there w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play immersion in using AI.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supporting child-centered and play-directed AI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s to promote young children’s meaningful play immersion in using AI.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