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Class based on I4MAT model focusing on learners’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회정 방담이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665~6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광범위한 학문 분야의 지식을 종합하여 통합적 이해를 도출하여야 하는 융복합 수업에서는 학습자 간의 협력적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김지영, 윤회정, 방담이(2021)가 제안한 학습자 상호작용 강화 I4MAT 모델을 기초로 융복합 수업을 설계하여 이를 적용한 후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과학과, 사회과, 도덕과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분석하고 재조직하여 수업 설계의 중심이 되는 융복합 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주제에 대하여 모델의 범주별 학습 활동과 학습 내용을 설계하고, 학습자 상호작용 활동, 상호작용 역량, 교수전략을 구체화하였다. 비수도권 소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83명을 대상으로 설계한 수업을 적용한 후 역량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결과 학습자 상호작용 강화 I4MAT 모델에 따라 ‘플라스틱 활용’과 ‘산불 대응’의 두 주제를 중심으로 융복합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 전⋅후 역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과 융복합 사고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강화한 융복합 교육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e coopera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s important to deri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y synthesizing knowledge from a wide range of academic fields. In this study, an interdisciplinary class was designed based on the I4MAT model focusing on learners’ interaction proposed by Kim, Yoon & Bang(2021), and implement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s. Methods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and reorganized the learning elemen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social studies, and morals curriculum to select a interdisciplinary theme that became the center of class design. For the selected theme,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were designed by the categories of the model, and learners’ interaction activities, interaction competencies. Then the teaching strategies were specified. After applying teaching program to 83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n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a non-metropolitan area, the change in competencies was explored. Results The Interdisciplinary class was designed based on the I4MAT model focusing on learners’ interaction using two themes: plastic use and wildfire response. As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the interaction competency and interdisciplinary think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cused learners’ interac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