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Behavior 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a University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정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587~60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플립드러닝을 성공적으로 설계⋅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행동조절, 인지된 성취도 간의 직⋅간접적 예측관계를 검증하였다. 플립드러닝 학습효과 변인으로 인지된 성취도를 선정하였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행동조절을 선정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A 대학 플립드러닝 수업에 참여한 수강생 91명을 대상으로 플립드러닝 수업 전⋅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예측관계를 검증하였다. 교수실재감과 행동조절의 매개효과는 Judd와 Kenny(1981)의 매개효과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행동조절 중 인지된 성취도에 대한 교수실재감의 예측력만이 유의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성취도 간 관계에 대한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행동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플립드러닝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학습자의 책무성, 동기, 학습 참여도를 높이는 교수자의 역할 수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verified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behavior 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a university flipped learning enviornment in order to find how to design and operate a flipped learning with success. It adopted perceived achievement as a flipped learning outcome, and selected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behavior regulation as predictors affecting perceived acheivement. Methods 91 students participating in a flipped learning class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completed survey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and behavior regulation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Judd & Kenny(1981)’s process analysis estimating mediation. Results The only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perceived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perceived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behavior 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instructor role to enhance learners’ a sense of duty, motivation, and learning engagement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implement a effective flipped learning at a univers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