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COVID-19 Stress: focusing on research from 2020 to 2022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봉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549~55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발생한 코로나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 과제를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2020년부터 2022년 7월까지 코로나스트레스를 주제어로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5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과 방법을 위해 연구동향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연도, 연구방법, 분석방법, 대상, 주제어 추출로 선정논문을 분류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워드클라우드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코로나스트레스 관련 연구는 2020년부터 2022년 7월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가장 많이 선정된 연구분야는 사회과학 분야이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에 비해 양적연구가 절대 다수로 나타났다.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측면으로는 회귀분석, t검증, 군집분석, 구조방정식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은 성인이 가장 높은 분포로 분류되었다. 연구대상의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는 코로나스트레스와 우울, 정신건강, 사회적지지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코로나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COVID-19 stress. and the purpose is to propose subsequent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the results. Methods To that end, 52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three years from 2020 to July 2022, The subject of COVID-19 stress was published in Korean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nd major academic journals. For data analysis, selected papers were classified by year, research method and analysis method, research subject, and subject word classification. Results Research related to a COVID-19 stress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from 2020 to July 2022, the most selected research field is the social science fiel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an absolute majority compared to qualitative research. As for the method of analyzing the results, the frequency was high in the order of regression analysis, t test, cluste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d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highest distribution among ad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 words of the study subject, it was conducted focusing on keywords such as COVID-19 stress, depression,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o conduct a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COVID-19 str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