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f Youth Science Achievement in Korea by TIMSS 2019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진수 정혜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329~3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수준별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협회(IEA)에서 실시하는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19)를 활용하였다. 학생, 교사, 학교 정보를 포함한 다층자료를 토대로 다중소속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모형에서 수준별 변인의 비율은 학생, 학교, 교사 순으로 나타났으나, 3수준 변인을 투입한 최종모형에 따르면 청소년의 과학 성취도에 대한 수준별 변인의 비율은은 학교, 교사, 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 수준에서는 성별, 가정의 학습지원 정도와 과학 관련 정의적 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수준의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 소재지의 도시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과학 성취도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학습환경 개선과 교육 혁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or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cience achievement by multiple level. Methods To do this, the multiple membership multiple level model was applied to the 168 schools, 235 teachers, 4404 students by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2019).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sult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final model, the amount of explanation of variables by level for adolescents' science achievement was high in the order of school, teacher, and student. Second, at the student level, it was found that the science achievement had been affected by gender, degree of family learning support. The teacher-level variab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chool level,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city at the school location had an effect.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level of science achievement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no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