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Competi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함영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115~1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학업지원을 외생변수로 투입하여 청소년의 경쟁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방법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2차, 3차, 5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 5,946명(남학생 2,892명, 여학생 3,054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성별 간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남녀 집단간 자기회귀효과와 교차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학업지원은 창의성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창의성의 자기회귀계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적 효과가 지속되고, 효과 크기는 여학생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경로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경쟁학습 선호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같은 시점의 창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창의성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이후 시점의 경쟁학습 선호가 높아지고, 집단 간 경로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경쟁학습 선호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창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양식을 주어진 과제에 맞게 유연하고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미래핵심역량인 창의성을 증진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Methods Using the 2nd, 3rd, and 5th data of KELS 2013, a multi-group analysis through ARCL between genders was conducted on 5,946 adolescent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academic support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competi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Second, the self-regression effect of competi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and the difference in path of creativity between groups was significant. Third, competitive learning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ity at the same time point. In addition, the higher the creativity of the previous point,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competitive learning at the later point, and the difference in path between groups was significant.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competitive learning, the higher the creativity. This result is judged to promote creativity, a core future competency, by flexibly and appropriately using the learning style that adolescents prefer in the educational field according to a given tas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