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velers by residence using big data of tourist consumption: A sample of mobile payment of Chinese tourists visited Korea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태숙 장태순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1호, 105~1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방한 중국 관광객이 국내에서 결제한 모바일 데이터를 통해 그들의 모바일 소비행태를 진단하고자 한다. 자료는 중국 공공데이터기관으로 부터 제공받았으며, 방한 중국 관광객이 2019년도 1년간 한국에서 결제한 월별, 성별, 연령별, 산업유형별 정보가 포함된 유니온페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거주지별/성별, 거주지별/연령대, 거주지별/산업유형에 대해 분석하였고, 거주지는 화북, 화동, 중남, 서북, 서남, 동북지역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화동지역 거주 관광객들의 소비금액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화북>중남>동북>서남>서북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건수도 동일한 순이며, 결과적으로 상해, 베이징, 심천, 광저우, 청도, 항주, 심양, 천진, 대련 등이 주요 소비도시로 규명되었다. 거주지별 성별에서는 화동지역 여성이 가장 많이 지출하였고, 서북지역 남성이 가장 적게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큰 반면 남성은 완만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거주지별 연령대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30대가 가장 많이 소비하였고, 다음으로 40대와 30세 이하 두 연령대가 비슷한 수준의 순위를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모든 지역에서 가장 낮은 소비를 한 연령대는 50대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거주지별 산업유형에서는 화동지역 거주 관광객들이 모든 산업에서 높게 소비하였고, 서북지역이 모든 산업에서 가장 낮게 소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장 높은 지출을 한 산업유형은 소매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시기적으로 유용하며, 급변하는 중국 관광객 소비시장을 이해하고 진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n the basis of mobile data, which payment was actually made in this country, this study diagnosed the consumption pattern of Chinese visitors who visited South Korea. The data was provided by a Chinese public data organization, and UnionPay data was used, which included payment information by month, gender, and age for Chinese visitors who visited South Korea in 2019. It specifically examined the type of gender, age, and industry for their place of residence. This study classified residence in China into six areas: North central, East central, South central, Northwest, Southwest, and Northeast. According to the findings, travelers from East Central spent the most, followed by travelers from North Central, South Central, Northeast, Southwest, and Northwes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anghai, Beijing, Shenzhen, Qingdao, Hangzhou, Shenyang, and Tianjin are major consumption cities. Female travelers from the East Central region spent the most, while male travelers from the Northwest spent the least. Spending by female travelers shows a large variation by region, whereas spending by male travelers shows a slight increase. In terms of age by residence, the thirties had the highest consumption, followed by the forties and below thirties, which had comparable consumption levels in all regions. Travelers from East Central spent the most in all industri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residence and industry type. Northwest visitors spent the least. Furthermore, it appeared that the industry with the highest expenditure was retail. Such a discussion is timely, and it will be useful in the future to understand and diagnose the rapidly changing Chinese tourist consumption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