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f Shopping and Optional Tour Oriented Behavior by Tour Guides: Focusing on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안소현 이충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5호, 11~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푸코의 규율권력 관점으로 관광통역안내사의 쇼핑 및 선택관광 지향행위를 분석하였다. 관광통역안내사는 현 여행업계에 적합한 수익을 창출하는 관광통역안내사로 양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관계, 지식, 감시라는 규율권력의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유자격 관광통역안내사는 전문화된 관광지식 및 관광객과 맺은 관계를 통하여 관광객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쇼핑 및 선택관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무자격 관광통역안내사는 전문화된 관광지식이 부족하여 관광객에게 제대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강매, 협박 등을 통하여 쇼핑 및 선택관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통역안내사의 쇼핑 및 선택관광 판매실적은 시험과 같이 점수화되어 순위가 매겨져 서열화 되고, 이에 따라 관광통역안내사는 보상과 처벌을 받는 과정을 겪으며 수익창출의 역할을 내면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관점에서 푸코의 규율권력을 토대로 관광통역안내사의 쇼핑 및 선택관광 지향행위의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our guide oriented behavior in terms of shopping and optional tour usage from the viewpoint of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Tour guides experienced a conflict between their role as guide and their responsibility to generate profit through shopping and optional tour usage. Eventually however, they become tour guides who generate revenue suitable for the current travel industry. By analyzing this from the point of view of disciplinary power composed of relationships, knowledge and surveillance, it was clear that qualified tour guides influenced tourists. This occurred through their specialized tourism knowledg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ourists. It is through these influences that tour guides induce shopping and optional tour usage. Conversely, unqualified tour guides were also shown to induce shopping and optional tour purchases through intimidation and high-pressure selling because they are unable to exert their influence effectively on tourists. This was due to their lack of specialized tourism knowledge. Shopping and optional tour sales as induced by tour guides were scored and ranked and sequenced as in a conventional test. From these results, tour guides are compensated or punished. Through this process, tour guides internalize the role of revenue gene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we are now able to analyze a tour guides’ behavior from a social point of vie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