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isure Activities and Volunteering among the Baby-boom Generation as it Influences Social Integratio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은정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0권 제6호, 227~2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여가활동유형을 분류하고,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의 집단 간 차이에 따른 여가활동유형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사회통합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베이비붐세대의 여가활동유형은 ‘운동지향여가활동’, ‘문화여가활동’, ‘실외레크레이션 여가활동’, ‘가사지향여가활동’, ‘사회적여가활동’으로 구분되었다. 베이비붐세대의 ‘사회적여가활동’과 ‘문화여가활동’ 유형은 사회통합감에 正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가사지향여가활동’ 유형은 負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여가활동유형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집단 간 차이는 LR-test 실시결과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집단 간 차이는 1%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원봉사활동 경험자의 ‘사회적여가활동’과 ‘문화여가활동’ 유형, 고학력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사회통합감에 正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가사지향적여가활동’ 유형은 負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원봉사활동 비경험자의 ‘문화여가활동’과 ‘사회적여가활동’ 유형, 고소득과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사회통합감에 正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전업주부는 負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노인 여가 및 복지 정책 수립에 있어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여가활동’과 ‘문화여가활동’ 유형의 활성화와 자원봉사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대책 수립을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y and volunteering on social integration among people from the baby-boom generation(born in 1963~1995). A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sample of 406 baby-boomers from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First,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social integration influence, and ‘Home-based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social integration influence. Seco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s group and non-participant’s group of those volunteering on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y on social integration: For the participants group of volunteers, ‘Social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and ‘higher educ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while ‘Home-based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integration. For the non-participants group of volunteers, ‘Cultural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higher salaries’ and ‘sexual activ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while ‘being a housewife’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integ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