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Leisur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Happiness Leve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미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1141~115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1인가구의 여가 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인가구 4,3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자료의 정규성을 파악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주요 변수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행복수준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1인가구의 행복수준에는 여가만족, 건강, 여가인식, 성별, 취미오락활동, 소득수준, 여가비용, 여가시간, 연령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1인가구의 여가만족에는 여가시간, 여가인식, 건강, 여가비용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1인가구의 여가 특성에서 건강, 여가비용, 여가인식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이를 통하여 1인가구의 행복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가만족, 건강, 여가인식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코로나19 감염병이 약해지면 여가활동의 범위를 넓히고, 여가비용과 여가시간을 확장하며, 여성과 젊은 층을 위한 여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level of happi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4,330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using the 2020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data. For data analysis, SPSS 25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ormality of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major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n happiness level.
Results First, the happiness level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leisure satisfaction, health, leisure perception, gender, hobbies and entertainment, income level, leisure expenses, leisure time, and age. Second, on leisur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order of leisure time, leisure perception, health, and leisure cost. Third. In the leisur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eisure cost, and leisure perception on happiness level.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level of single-person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enhance leisure satisfaction, health, and leisure awareness. In addition, if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weakens,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leisure activities, expand leisure expenses and leisure time, and build a leisure infrastructure for women and young peop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