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rends in language network analysis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07 to June 2022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성한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951~96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에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관련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22년 6월까지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활용 연구 2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발행연도 및 게재 학술지, 연구 주제, 분석 도구, 시각화 분석법, 분석지표’로 설정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지적장애연구’에서 가장 많은 수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을 시작으로 점차 연구 수가 증가하여 2019년, 2021년에 가장 많은 연구(7편)가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분석을 주제로 수행되었으며 그에 따라 수집 텍스트는 학술지 게재 논문이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 도구는 ‘UCINET’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네트워크 지도를 통해 결과를 시각화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대상 28편의 논문 모두에서 중심성 척도를 분석지표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클러스터링, 에고 네트워크 분석 등의 방법도 사용되고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언어 네트워크 연구 수행의 방향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가지며 질적으로 보다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성과 연구목적 및 주제에 적합한 네트워크 분석 도구, 시각화 제시 방법,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연구 결과를 풍부하게 제시할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anguage network analysis-related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rends of studie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28 studie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in the domestic special education field were analyzed from 2007 to June 2022.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t as ‘year of publication and published journal, research topic, analysis tool, visualization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index’.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was found to have been carried out.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research trend and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an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collected texts were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s a network analysis tool, ‘UCINET’ was used the most, and the most studies that visualized the results through a network map were the most. In all 28 papers to be analyzed, the centrality scale was used as an analysis index, and methods such as clustering and ego network analysis were also used.
Conclusions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providing a direction for conducting language network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he need for continuous expansion of qualitatively more diverse topics, as well as network analysis tools, visualization presentation methods, and analysis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and topics. The necessity of presenting the research results abundantly using indicators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