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Gender of Characters in Picture Books: for Human and Non-Human Charact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해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697~7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들이 그림책 읽기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인간과 인간이 아닌 캐릭터의 성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시, Y유치원과 S유치원 만 5세 학급 2개의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1차 대그룹 동화 들려주기 활동, 2차 소그룹 동화 들려주기 활동에서 각각 2가지의 그림책을 들려주고 나서 동화에 대해 반복적이고 적극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아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결과 유아들은 사회적 구성물을 근거로 하여 그림책 속 인간 캐릭터의 성별을 인식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남아의 경우 사회적 규약과 사회적 구성물에, 여아의 경우 그림이나 색깔, 의류, 물리적 속성과 같은 시각적 특성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간이 아닌 캐릭터의 경우 그림과 사회적 구성이 같은 정도로 나타났으며 남아의 경우 사회적 규약을 근거로, 여아의 경우 그림이나 의류를 근거로 캐릭터의 성별을 인식하였다.
결론 그림책의 인간과 인간이 아닌 캐릭터 성별에 관한 유아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아들은 자신들이 사전에 가지고 있던 사회적 지식을 바탕으로 성별에 대해 인식하였으며 그림과 같은 시각적 장치에 의존하여 판단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그림책 읽기를 통해 기존의 성 고정관념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과 마주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hildren perceive the gender of human and non-human characters while reading picture books.
Methods Children’s perception was observed through reading out two different picture books for 48 children of Y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in S city, in a primary large-group session and secondary small-group session, then a repetitive and active verbal interaction afterward.
Results Children displayed a tendency to perceive the gender of the human characters in picture books based on social constructs. Male children largely focused on references to conventions and social constructs, whereas female children focused on visual features such as reference to illustrations, colors, clothes, and physical attributes. In the case of non-human characters, social constructs and references to illustrations had an equivalent degree of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gender. Male children used references to conventions as evidence to perceive the characters’ gender, while female children used references to illustrations and clothes.
Conclusions By understandi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gender of human and non-human characters in picture book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omposing a children’s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that pursues diversity to diminish gender stereotypes, and deepening meaningful literary interactions with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