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ilitating Interactions in Metaverse based on Experiential Learning: Platform Analysis and Explo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서현 주재홍 신윤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465~4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콘텐츠, 교수자 관점에서의 상호작용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경험학습의 4가지 학습단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과 연결하여 제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활용도가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 5가지를 선정하여 플랫폼 내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메타버스 기능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총 10개의 메타버스 기능을 통합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경험학습의 4단계와 각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과 매칭하여 경험학습의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전략과 적합한 메타버스 기능을 제시하였다.
결론 향후 메타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학습 목표와 내용,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메타버스 플랫폼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teractive functions in a metaverse learning platform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contents, and instructo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sociat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four learning stages of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metaverse platforms were selected, and functions that can be used to promote interaction within the platform were analyzed and integrated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s.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10 metaverse functions were suggested, and each function could be used in the context of each stage of experiential 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x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Conclusions It was intended to present guidelines so that instructors who want to use metaverse in the future can effectively use metaverse platform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goals,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