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ggression on Friendship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수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113~12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공격성과 친구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3차년도(초6) 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 연구 대상자는 남학생 1,211명과 여학생 1,200명이다.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공격성과 친구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 긍정적 친구관계와 부적상관, 거부적 친구관계와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긍정적, 부정적)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친구관계와 관련된 교육 및 상담 과정에서 부모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함과 동시에 부정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친구관계의 문제 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나 개인 및 집단 상담에 공격성과 같은 요소를 반영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ggression and friendships.
Methods Data from the 2018 (third-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11 male and 1,200 female students in sixth grade school. Correlation, frequency,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ggression and friendship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ggres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positive friendship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negative friendship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friendships(positive, negative) and the aggression concentr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active cooperation of parents is necessary in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proces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iendships, consideration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ggression is necessar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need to reflect factors such as aggression in educational programs or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to improve friendshi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