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urvey on Difficulties in Tasks aside from Counseling and Educational and Assistance Needs of University Counsel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라수현 민예슬 민경화 윤숙경 안성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35~4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상담사들이 상담 외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그와 관련하여 학회에서 제공해주기 바라는 교육과 지원 내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대학 상담센터에서 현재 근무 중이거나 근무한 경험이 있는 상담사 9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의 절차를 따라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 결과 대학상담사들이 상담 외 업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행정 및 대학평가’, ‘겸직 업무’, ‘위기대응과 의뢰’, ‘학내 문제에 대한 상담외적 개입 요청’, ‘상담윤리와 전문성 침해’ 등으로 인하여 업무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업무역량 개발을 위하여 ‘보고서 작성 및 연구조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학생상담센터 운영’ 등의 교육 요구가 있었으며, 학회에서 지원해주기를 바라는 내용으로는 ‘대학상담센터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상담사 역할 및 권익 보호’, ‘대학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 대한 교육’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 향후 과제를 분석하였으며, 대학상담에서 학회 및 협회가 부응해야할 역할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university counselors while performing tasks aside from counseling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assistance that they need from the academic society were investigated.
Methods 91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or had experience working at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University counselors were struggling in areas such as ‘administrative and university evaluation paperwork’, ‘working in additional positions’, ‘crisis management and referral’, ‘requests for non-counseling interventions’, and ‘violation of counseling ethics and expertise.’ (2) Their educational needs included ‘report preparation and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and ‘student counseling center management.’ (3) The assistance needs from academic associations were ‘preparing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rotecting the role and rights of counselors’, and ‘counseling education for university members’.
Conclusions With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tasks and roles that academic associations should mee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