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ibe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Content Based Instruction: Focusing on the Case of Adjunct Model in Korean Modern History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심지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17~3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내용중심 언어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유학생 교양수업의 전체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 공유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행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모색된 것이다.
방법 유학생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 그리고 내용중심 언어교육의 필요성 확인을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는 문헌연구법을 적용하였다. 이어서 서울 소재 4년제 A대학에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병존모델을 적용하여 ‘한국현대사의 이해’ 과목을 운영한 사례에 대해 케이스 스터디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학생 교육에 유효한 수업구성과 스캐폴딩 방식을 추출하였다.
결과 현행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용중심 교수법을 단계별로 확대 적용하는 유학생 교양수업 모델을 마련하였다. 특히 그 중 병존수업 방식이 초기 단계 유학생들을 위한 대안적 수업 형태가 될 수 있음을 관련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유학생 대상의 교양교육은 내용교육과 함께 한국어 능력과 한국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내용중심 교수법을 단계별로 확대 적용하는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병존수업 방식은 본격적인 전공 수업에 진입하기 전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수업 방식으로 적합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whole model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ntent- based language instruc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furthermore, to present and share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rough actual cases. This was sought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Method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an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the content-based language education. Subsequentl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lass of ‘Understanding Korean Modern History’ which has been appling the adjunct model for years, and based on this, we extracted the effective class composition and scaffoldings for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Resul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a foreign student liberal arts class model that applied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step by step.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rough related cases that the adjunct model can be an alternative class form for early-stage international students.
Conclusions Libe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Korean language and the ability to adapt to Korean universities and complete their studies along with content education.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model that applies content-based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adjunct model is suitable as a customized teaching method for international students before entering a full-fledged major class.
목차
Ⅰ. 서론
Ⅱ. 내용중심 교수법의 개념과 유형
Ⅲ. 내용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대학 교양수업 모델
Ⅳ. 병존모델 방식을 적용한 교양수업 사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