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inement of educational goals of workplace writing: Focusing 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basic physical strength of workplace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임택균(Yim Taekkyu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5호, 205~2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직무 글쓰기의 기초 체력에 해당하는 공통 글쓰기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실질적인 직무 담화 공동체의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기위해 우리 사회에서 직장인들이 활용하는 직무 관련 글쓰기 자기계발 도서 12권을 분석하여 직무 글쓰기의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추출하였다.이를 토대로설문을 구성하여 전국의 300명이 직장인에게 설문 응답을 받아 공통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직무 글쓰기에 대해 공유하고 있는 암묵적 지식을 탐색하였다. 설문 응답에 대한 공통요인분석 결과를 선행 연구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한국실용글쓰기 검정기준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직무 글쓰기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글쓰기 능력은 ‘논리 및 전달’과 관련된 내용,‘아이디어 구성’과 관련된 내용,‘글구성 및 형식’과 관련된 내용의 세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이 연구의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실제 직무 현장에서 통용되는 직무 글쓰기에 요구되는 내용을 토대로 도출하였다는 점,그리고 직무 글쓰기에 대한 기존의 논의보다 한단계 구체적인 수준의 내용을 밝혔다는 점에서 보다 실천력 있는 직무 글쓰기 교육을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여러 제약으로 인하여 표집의 대표성,설문 문항의 구체화 등의 본 연구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이를 일반화 및 구체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pecify a common writing goal that corresponds to the basic physical strength of workplace writing. To reflect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job discourse community, 12 job-related writing self-development books used by office workers in real society were analyzed. Approximately 300 people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on this information, and the implicit theory for workplace writing was explored by performing a common factor analysis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writing ability commonly required for workplace writing can be divided into content related to “logic and concise,” “idea composition,” and “writing structure and form.”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more practical workplace writing educa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1) it was derived based on the content required for workplace writing used in job sites, and (2) it revealed a more specific level of detail than the existing discussions on workplace writ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