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riting Context Composition Patterns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한하림(Han Ha L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5호, 67~10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성물로서의 쓰기 맥락 개념을 제안하고 실제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쓰기 맥락 구성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쓰기 맥락은 쓰기의 전 과정에 영향을미치는 학습자의 인지심리적 구성물이다.구성적 관점에서의 쓰기 맥락 개념의 교육적 유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학문 목적 학습자 19명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쓰기 과제를 적용한 후 학습자들의 쓰기 맥락 구성 양상을 분석하였다.먼저 맥락 인식 체크리스트 결과,쓰기 과제와 관련하여 잠재적 맥락장의 장르적 지식이 가장 낮고 실현맥락장의 쓰기 과제에 대한 이해가 그 다음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다음으로,관계도 그리기 분석 결과,학습자가 구성한 쓰기 맥락은 크게<분절적 맥락 인식>,<통합적 맥락 인식>,<이원적 맥락 인식>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분절적 맥락 인식은 ‘독자제외 맥락 인식’과 ‘소재 중심 맥락 인식’으로,통합적 맥락 인식은 ‘상호문화 중심 맥락 인식,독자 중심 맥락 인식,지식 중심 맥락 인식’으로 하위 유형화할 수 있었다.이중에서 자기표현 쓰기 텍스트에서 학습자의 견해나 사고관 등 저자의 목소리가 가장뚜렷하게 드러난 것은 ‘독자 중심 맥락 인식’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oncept of writing context as a learning component and analyze the writing context composition patterns of academic learners. Subsequently, the composition pattern of the writing context was examined by applying the self-expression writing task to 19 academic learners. From the contextual awareness checklist results, learners lacked most of the genre knowledge of subconscious contextual field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ask in the realization context field was lo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context formation factors, the writing context constructed by the student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segmental context recognition, integrated context recognition, and dual context recognition.” Segmental context recognition can be divided into “reader exclusion context recognition” and “material-centered context recognition.” In addition, integrated context recognition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intercultural context recognition, reader-centered context recognition, and knowledge-oriented context recognition.” Among them, the author’s voice, such as learners’ opinions or perspectives, was most clearly revealed in the text of self-expression writing as “reader-centered context recognition.”
목차
1. 서론
2. 쓰기 맥락의 개념 및 구성 요소
3. 연구 방법
4. 학문 목적 학습자의 쓰기 맥락 구성 양상
5. 시사점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