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thical Decision Mak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Counselors: Q Methodological Approa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노인화 유형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1059~107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의사결정의 근거는 무엇이고, 어떠한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는지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Q 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Q 표본을 선정하고, 학교 및 교육청에서 전문상담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참여자 35명을 P 표본으로 선정하여 Q 표본을 분류하게 하였으며, 진술문, 추가 면담 자료 및 일반적 특성 정보를 중심으로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유형은 ‘내담자 우선 전문성 추구형’, ‘지침 기반 내담자 존중형’, ‘관계 중시 경험 확신형’, ‘조직 순응 안전 추구형’의 네 가지로 확인되었다. 결론 각 유형의 특성, 유형별 보완점, 학교상담의 발전과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제도적⋅행정적 체계 재정비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what types of ethical decision-making is based on the ethical coflict experienced by a school counselor,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by ethical decision-making types what is important considerations factors among the various facto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Q methodology,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five stages: establishment of Q-population, selection of Q-sample and reliability test, selection of P-sample, Q-classification, analysis of results and interpret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ere four types of ethical decision-making by school counselors. Type 1 is ‘Client-first Professionalism pursuit’, type 2 is ‘Regulation-based Respect for Client’, type 3 is ‘Relationship-emphasis Experience conviction’ and type 4 is ‘Organization-conformity Safety pursuit’.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and security points of each type, and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for ethical decision-making of school counselo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