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ification of extern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ools to measure the cognition of shar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경 강성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925~93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공유 인식 측정 도구를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외적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공유 인식 측정 도구를 경기도 소재 J 중학교 학생 1033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의 응답을 반분하여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에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517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SPSS를 활용하여 29개의 문항이 해당 영역으로 수렴하는지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추출된 15개의 문항에 대한 516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AMOS를 활용하여 요인의 타당도와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3개의 요인과 15개의 문항이 도출되어 일반 공유 인식(3문항), 가치 공유 인식(6문항), 지식 공유 인식(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요인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확보했으며, 모델의 적합성 검증을 통해 절대 적합도 지수, 증분 적합도 지수, 간명 적합도 지수가 유효하게 나타나 측정 도구가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검증한 공유 인식 측정 도구는 중학생의 공유 인식을 진단하는 데, 공유 역량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공유 역량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xternal validity by applying the developed tools to measure the cognition of shar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the sharing cognition measurement tool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on 1,033 students at J Middle School in Gyeonggi-do. In addition, the responses of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 half and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29 questions converged to the corresponding area using SPSS for 517 responses.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ctors were confirmed using AMOS for 516 responses to 15 questions extra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 factors and 15 questions were derived and composed of general sharing cognition (3 questions), value sharing cognition (6 questions), and knowledge sharing cognition (6 question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secured through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factors, and absolute fit index, incremental fit index, and parsimonious fit index were valid through the model fit verification, so it was judged that the measurement tool was suitable. Conclusions The sharing cognition measurement tool verif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diagnose the sharing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develop a program that improves the sharing competenc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lated to the sharing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