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ystem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he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누리 권은경 박정양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831~8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경험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과 인식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이야기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한 지 1~3년 된 신규문화예술교육사 5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총 10회기에 걸친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과정 경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 신규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경험에 관하여 반 구조화된 질문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예술가의 길이 아닌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취업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른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형성되길 바라고 있었다. 넷째,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는 경제적 불안감을 가지고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병행하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만으로 문화예술교육사로서 활동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안 및 제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가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방향성을 발견하고 모색하는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경험과 인식에 관한 이야기를 신규 문화예술교육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신규문화예술교육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find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in various aspects of the us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experienced in the field by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Methods Fiv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have obtained certificates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from July 2021 to October 2021 were interviewed in a total of 10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semi- structured form. Results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in that they could choose various paths, not the path of an artist.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is effective for employment. Third, he hoped to create a community where he could communicate with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companies in other fields. Fourth,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works as a freelancer, has shown that there is a limit to working as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only with the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This can be seen as meaningful, and it is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requires measures and improvements to create stable job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신규문화예술교육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문화예술교육사 인식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실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활용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Recognition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Actual Situation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ite
Utilization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Qualific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