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of Origin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with Infancy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니 방효국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799~80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방법은 아버지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 양육 태도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0명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본조사를 진행하였다. 경기도 K시 유치원 재원생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72부 중 불성실한 28부를 제외한 총 244명의 아버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6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문제에 따라 결과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일반적 경향은 가족 건강성, 아버지 원가족 건강성, 아버지 양육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들은 현재 자신의 가족 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원가족과의 관계 역시 긍정적으로 기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양육 태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자녀를 양육하는 태도의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아버지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요인별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하위요인간의 관계에서는 대체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통제적 태도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통제적 태도 점수가 높은 아버지는 원가족 건강성과 가족 건강성 점수가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 양육 태도에 있어 원가족 건강성과 가족 건강성이 중요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점은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 참여와 바람직한 양육 태도 형성을 위해 교육기관에서 아버지 교육 참여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아버지를 위한 자료 개발의 기초 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Methods As for the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father's original family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test tools, and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of 10 father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fathers of kindergarten students in K city, Gyeonggi-do, and a total of 244 fathers were studied, excluding 28 unfaithful out of 272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ealth, the family health, then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were found.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father perceives the current family relationship positively and perceives it as a positive experience with the family of origin. On the other hand, the parenting attitude is relatively low, suggesting the need to supplement the child rearing attitud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family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each fact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controlling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fathers with high control attitude scores have low family health and family health score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and the health of the family.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fath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ctive participation of fathers and the formation of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data development for fa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