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an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영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671~68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선정하고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하여 S특별시, G도, G시, S도 소재 유치원 교사 42명과 만 5세 유아 387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 관련 유치원교사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24.0과 과 AMOS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둘째, 독립변인인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직접적인 효과를,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증가하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도 증가하지만,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 역량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증가 또는 감소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의해서도 의미 있지만,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창의적인 놀이지원 워크샵과 같은 유치원교사 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teaching crea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lay support capacity of kindergarten teachers that affect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Methods For this purpose, 42 kindergarten teachers and 387 5-year-old children located in S special city, G province, G city, and S province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peer pla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24.0 and AMOS 24.0, and the effects of parameter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bootstrap verification procedure.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lay support ability, an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For example,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teaching crea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increase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ncreased, but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also increased and, accordingly,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lso increased. Conclusions The influence o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s also significant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bu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increased when the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was added to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is suggests that re-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such as creative play support workshop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