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 Perceptions on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Grades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화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295~3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9년에 5학년이나 6학년 사회 수업을 담당한 교사 632명을 대상으로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쟁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5~6학년 사회 수업을 직접 담당한 교사 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교사들은 사회과에서 제시한 교과 역량을 5~6학년 사회과에 적용하게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6학년군 사회과 학습 내용의 양과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5학년 2학기에 집중되어 있는 역사 영역 중에서 근현대사와 관련된 부분의 학습량이 많고, 내용 수준도 학생들에게 다소 높은 편이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5~6학년 사회과 교수⋅학습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량 과다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보다 압축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에서와 달리 면담 조사에서는 내용 요소를 기계적으로 감축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도 강하게 제시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의견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핵심적인 내용 요소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마련, 초등 사회과 교수⋅학습 자료 등의 개선,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개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oversaw social studies classes in 2019—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introduced for grades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regarding managem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Method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detailed improvement plan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erms of teaching,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in grades 5 and 6. To this end,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32 teachers who oversaw social studies classes in grades 5 and 6 in 2019,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oversaw these grades. Results The key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many teachers perceived the subject competency present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ppropriate for grades 5 and 6. Second, when examining teacher perceptions regarding the amount and level of social studies content learned in these grades, many felt that the amount of learning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as high for the historical domains studied in the second semester of grade 5. They felt that, overall, the content level for students was also high. Third, teachers expressed that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social studies in grades 5 and 6 was excessive learning.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to enrich managem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grades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 we propose provid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centered on essential content elements,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develop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